본문 바로가기
건강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력에도 영향을 줄까? 전문가의 답변

by 건강정보 사용설명서 2025. 3. 24.
반응형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력에도 영향을 줄까? 전문가의 답변

 

1. 미세 플라스틱과 면역력, 무관하지 않다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s)은 크기가 5mm 이하인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우리가 마시는 물, 먹는 음식, 숨 쉬는 공기 속에서 발견된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사람은 매주 평균 5g(신용카드 한 장 크기)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할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미세 플라스틱이 단순히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가 체내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 연구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 체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면역력이란 무엇일까? ] 

면역력은 우리 몸이 외부 유해 물질(바이러스, 박테리아, 독소 등)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면역 체계는 백혈구, 항체, 장내 미생물, 림프절 등의 방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 ]

1) 체내 염증 반응 유발 가능성

  • 미세 플라스틱이 혈류로 들어가면 면역 세포가 이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음.

  • 이 과정에서 만성 염증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큼.

2) 장내 미생물 균형 파괴

  • 면역력의 70% 이상이 장 건강과 직결됨.

  • 미세 플라스틱이 장내 유익균을 감소시키고, 유해균 증식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음.

3) 면역 세포 기능 저하 가능성

  • 미세 플라스틱에 포함된 화학물질(BPA, 프탈레이트 등)이 면역 세포 활동을 방해할 수 있음.

  • 면역 세포 기능이 저하되면 바이러스, 세균 감염에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음.

이처럼 미세 플라스틱은 단순한 오염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교란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된다.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력에도 영향을 줄까? 전문가의 답변

 

2.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 세포에 미치는 영향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백혈구(면역 세포)**이다.

 

백혈구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외부 침입자를 공격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이 백혈구 기능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1) 미세 플라스틱이 백혈구 기능을 저하시킬까?

  • 2022년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연구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된 백혈구의 활동이 30% 이상 감소했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함.

  •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 세포가 병원균을 공격하는 능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함.

2) 만성 염증 반응 유발 가능성

  • 면역 세포는 미세 플라스틱을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 물질로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음.

  • 그러나 미세 플라스틱은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면역 세포가 계속해서 과잉 반응(염증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음.

  • 2021년 미국 로체스터 대학 연구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이 체내 염증 반응을 유발해 면역 과민증(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표함.

3) 면역력 저하로 인한 감염병 위험 증가

  • 백혈구의 기능이 저하되면,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질 수 있음.

  • 감기, 독감, 폐렴 등의 질병에 더 쉽게 걸릴 가능성이 있음.

  • 또한, 만성 염증이 지속될 경우, 자가면역질환(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결론: 미세 플라스틱은 면역 세포 기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만성 염증 및 감염병 위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3. 미세 플라스틱이 장 건강과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우리 몸의 면역력은 장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에는 약 100조 개 이상의 장내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면역 체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이 장내 미생물 균형을 무너뜨릴 가능성이 있다.

 

1) 장내 유익균 감소 가능성

  • 2020년 중국 난징 의과대학 연구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이 장내 유익균을 감소시키고, 유해균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발표함.

  • 장내 유익균이 감소하면 소화 장애, 면역력 저하, 만성 염증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

2) 장내 염증 및 장누수증후군(Leaky Gut) 위험 증가

  • 미세 플라스틱이 장벽 세포를 손상시키면,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장누수증후군이 생기면 독소, 미생물, 미세 플라스틱 등이 혈류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짐.

  • 결과적으로 면역 체계가 지속적으로 자극받아 자가면역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결론: 미세 플라스틱은 장내 유익균을 감소시키고, 장 염증을 유발하여 면역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4. 미세 플라스틱으로부터 면역력을 보호하는 방법

미세 플라스틱이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1)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 플라스틱 생수병 대신 정수기 물 사용.

√ 플라스틱 포장 식품 대신 신선한 식재료 사용.

√ 플라스틱 식기 대신 유리, 스테인리스 식기 사용.

2) 장 건강을 위한 식단 유지

√ 발효식품(김치, 요구르트, 된장) 섭취로 장내 유익균 증가.

√ 해조류(미역, 다시마) 섭취로 미세 플라스틱 배출 촉진.

√ 식이섬유(통곡물, 채소, 과일) 섭취로 장 건강 강화.

3) 면역력 강화 생활 습관

규칙적인 운동으로 면역 세포 활성화.

충분한 수면(7~8시간)으로 면역력 유지.

스트레스 관리(명상, 호흡 운동)로 면역 체계 보호.

반응형